-
교육급여 바우처 신청방법, 사용처 초간단 정리시사. 경제. 부동산 2023. 4. 9. 01:20
교육급여를 받으면서 혜택을 받았던 학생들이 지금 좀 혼란스러운 상황입니다. 계좌로 잘 받던 것을 갑자기 바우처로 준다고 하는데, 교육급여 바우처신청을 어디에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죠? 일단 '바우처'라는 말이 생소하다면 그동안 계좌이체로 받던 것을 사용처에 맞게 결제가능한 포인트로 제공받는 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어려운 것 아니니 차근히 따라오세요.
목차 - 교육급여 바우처 지원대상
- 교육급여 바우처 교육활동지원비 (초등, 중등, 고등)
- 교육급여 바우처 신청 방법
- 교육급여 바우처 사용
- 교육급여 신청기간 및 날짜 시간
1. 교육급여 바우처 지원대상 기본적으로 교육급여 바우처는 '학생'들의 교육을 뒷받침 하는 자금이기 때문에 당연히 학교에 재학중이어야 합니다. 여기에서 학교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뿐만 아니고 특수학교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모든 학생들이 교육급여 지원 혜택을 받는 것은 아닙니다. 반드시 의사상자, 교육급여 수급자, 주거, 의료, 생계 수급을 받는 중인 사람의 자녀여야 합니다. 간혹 의료급여 특례가구이지만 자녀가 특례수급자로 지정되지 않은 경우는 이 혜택을 받을 수없습니다. 또한 부양의무자 기준을 받을 수 없습니다.
교육급여는 중위소득의 50% 이하인 경우 신청할 수있습니다. 이 경우는 아래 링크에서 조회가능합니다.
지표서비스 | e-나라지표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보건복지부, 기초생활보장과, 044-202-3057 최근 갱신일 : 2022-08-01(입력예정일 : 2023-08-04) 자료 출처 : 연도별 기준 중위소득 및 생계·의료급여 선정기준과 최저보장수
www.index.go.kr
2. 교육급여 바우처 교육활동지원비 (초등, 중등, 고등) 초등, 중등, 고등학생이 지원대상이면서, 특징은 고등학생이 가장 많은 지원금과 혜택을 받습니다. 아무래도 학습량의 차이가 있으니 그래야 겠죠? 고등학생이 받을 수 있는 교육활동지원비는 1년에 55만 4천원으로 가장 높습니다. 어린 학생들에 비해 고등학생만 추가적으로 받는 혜택은 입학금과 수업료, 교과서가 있습니다.
중학생의 경우는 1년에 46만 6천원, 초등학생은 1년에 33만1천원 입니다. 사용하고자 들면 사실 한달에도 다 쓸 수 있는 돈이겠지만 나라에서 신경쓰고 있다는 정도로 고마운 생각이 드는 대목입니다.
3. 교육급여 바우처 신청 방법 교육급여 바우처 신청은 온라인, 오프라인 모두 가능합니다. 온라인 누리집 ( 복지로-교육비원클릭신청시스템) 또는 오프라인 행정복지센터에서 (옛날 동사무소)에서 신청하면 됩니다.
교육급여 바우처 온라인 지원 방법은 링크를 남겨두겠습니다. 어려운부분은 1599-2000 대표번호로 전화를 걸어 상의하면 좋겠습니다. 상담 시간은 9시 부터 18시입니다.
교육급여 바우처
e-voucher.kosaf.go.kr
4. 교육급여 바우처 사용 교육급여 바우처는 학생들의 공부를 지원하기 위한 제도이기 때문에 학업에 관련된 모든 곳에서 사용가능합니다. 학교 급식비, 운영지원비, 교재비, 교과서 및 수업료. 입학금 등이 될 수있습니다.
또한 신청인 본인의 카드로 바우처를 지급 받은 경우 오프라인 상점 뿐아니라 온라인 상점에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주의할 점은 선불카드로 받은 경우에는 오프라인에서만 사용가능합니다.
5. 교육급여 신청기간 및 사용기한 신청은 이미 받고 있으며, 마감일이 2024년 6월 28일 입니다. 매일 오전 9시부터 밤 10시 사이에 신청가능합니다. 사전등록기간동안 기존 교육급여를 받고 있던 학생들이 신청을 먼저하였고,
본 신청 기간인 현재부터 24년 6월 28일까지는 신규및 기존 학생들 모두 신청 가능하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교육급여 바우처의 금액은 24년 8월 31일까지 사용가능하지만 그 이후에는 소멸되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응형'시사. 경제.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판교 푸르지오 그랑블 학군 정보 (0) 2024.06.19 옥션원 사용법 및 후기 (0) 2024.05.07 광교 풍경채 어바니티 사전점검 이후 분석 및 매수팁 (3) 2023.09.21 벚꽃구경 갈만한 곳-여름이 길어지면 생기는 일 (0) 2023.03.30